[ 통풍이란? ]
통풍은 혈액 내에 요산의 농도가 높아지면서 쌓인 요산염 결정이 관절의 연골과 힘줄, 주위 조직에 침착되어 나타나는 통증 질환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관절의 염증을 유발하여 극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재발성 발작을 일으키기도 하며, 관절의 이상 외에도 다양한 신장질환을 일으키고 요산에 의해 콩팥에 돌이 생기는 콩팥돌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통풍은 요산에 의해 생기는데, 요산 수치가 높아지는 데는 두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한가지는 몸 안의 요산 생산량은 정상이지만 신장이 요산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이고, 또 한가지 원인은 우리 몸이 너무 많은 양의 요산을 만드는 경우입니다. 간혹 약제 또는 유전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기도 하며 비만, 음주, 음식물도 통풍이 생기는 주요한 원인이 됩니다.
급성 통풍 발작이 있는 경우에 통증 및 염증을 조절하는 소염 진통제를 사용하여 치료합니다.
-일년에 두 번 이상 통풍 발작이 있는 경우
-관절부위에 요산 결절이 만져지는 경우
-요산에 의한 신장 결석이 있는 경우
-요산 억제제나 요산 배출제 등을 사용
통풍의 원인이 되는 요산은 체내에서 합성되거나 식품에 들어있는 퓨린으로부터 합성됩니다. 따라서 혈중 요산수치를 감소시키기 위해 퓨린 함량이 높은 식품의 섭취를 제한해야 됩니다.
비만은 통풍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정상체중을 유지하도록 적정량의 식사를 합니다. 급격한 체중감소는 오히려 혈중 산성물질(젖산과 케톤체)을 과다하게 만들어 요산의 배설을 어렵게 하므로 한 달에 약 1~2kg정도를 목표로 감량하는 것이 좋습니다.
알코올의 섭취는 혈액 내 요산 생성을 증가시키며 체내 젖산을 축적시켜 요산 배설을 어렵게 합니다. 특히 맥주는 퓨린 함량도 높기 때문에 절주 및 금주가 필요합니다.
과량의 지방은 요산의 배설을 감소시키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튀김, 드레싱, 중화요리, 크림, 초콜릿, 버터, 크림빵, 케익류 등)
수분은 소변으로의 요산 배설을 돕고, 신장결석 형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하루 3L(10컵 이상) 정도로 충분히 마십니다. 채소에 풍부한 섬유질, 엽산, 비타민C는 혈액 내 요산이 쌓이는 것을 막아주므로 충분히 섭취합니다.